반응형 전체 글167 “20만원 기부하면 14만4000원 세금 공제에 6만원 답례품까지!” 내년부터 고향사랑기부금 세액공제 제도가 한층 강화된다. 기존보다 공제율이 높아져 실질적인 부담은 낮아지고, 지역 특산물 등 답례품까지 받을 수 있어 ‘기부테크’(기부+세테크) 수단으로 재조명되고 있다.✅ 핵심 요약항목 기존(2025년까지) 변경(2026년부터)10만원까지 공제율100%동일10만~20만원 구간 공제율15%40%실질공제율 (지방세 포함)약 16.5%44%20만원 초과 공제율15%동일특별재난지역 공제율15% → 30%최대 33% (지방세 포함) 💰 실제 혜택 예시 (내년 기준)20만원 기부 시→ 세액공제: 14만4000원→ 답례품: 6만원 상당→ 총 혜택: 20만4000원→ 사실상 ‘순손실 0원’, 오히려 4000원 이득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특별재난지역 기부 .. 2025. 8. 4. 소비쿠폰, 어디 썼나 봤더니…'보톡스' 맞고 '액세서리' 샀다? 지난 7월 21일부터 지급된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예상보다 의외의 곳에서 활발히 쓰이고 있다. 외식, 액세서리, 피부과 시술 등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추구하는 소비 패턴이 뚜렷하게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다만 쿠폰 사용 가능 가맹점으로 소비가 집중되면서 대형 유통업체나 직영점 매출은 오히려 감소하는 양극화 현상도 함께 관찰됐다.✅ 어디에 가장 많이 썼을까?항목 결제 증가율(전년比) 주요 특징피부과+15.9%보톡스·간단 시술 수요 급증액세서리(패션잡화)+15.3%키링, 머리핀 등 ‘기분 소비’외식업(일식/양식 등)+7.6%소비쿠폰 직후 외식 수요 폭증의류+5.9%비필수 소비지만 반응 커편의점+1.4%GS25 결제액 +11.7%백화점+.. 2025. 8. 4. “7% 적금? 이젠 옛말…카뱅도 6%로 인하” 2025년 하반기, 은행을 찾는 사람들의 표정이 밝지 않습니다. 예·적금 금리는 뚝 떨어졌고, 대출금리는 오히려 오르고 있기 때문인데요. 그야말로 예금과 대출 금리가 'X자'로 엇갈리는 기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예·적금 금리는 왜 줄줄이 하락 중일까?최근 하나은행은 12개 예·적금 상품의 금리를 최대 0.25%포인트 인하했습니다. ‘하나의 정기예금’ 1년 만기 기준 금리는 2.2% → 2.05%로 낮아졌고, 신한은행과 광주은행도 비슷한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심지어 인터넷은행인 카카오뱅크는 '한달적금' 금리를 무려 1%포인트 낮춰 7% → 6%로 조정했고, 케이뱅크도 마찬가지로 금리를 내렸습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은행이 굳이 돈을 끌어올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정부가 고강도 대출 규제를 시행.. 2025. 7. 28. 윤석열 감세정책 되돌린다…이재명 정부 '패키지 증세' 본격화 이재명 정부가 윤석열 전 정부의 감세정책을 전면 수정하고, 법인세·양도소득세·증권거래세 등을 중심으로 한 ‘패키지 증세안’을 추진합니다. 이는 공약 이행을 위한 210조 원 규모의 재원을 마련하고, 신산업과 저출생 대응을 위한 핀셋 감세 정책과 병행된다는 점에서 주목됩니다.어떤 세금이 오르나?세목현행개편 검토안법인세최고세율 24%25% 이상 또는 단계적 인상양도소득세대주주 기준 50억원10억~30억원으로 완화증권거래세0.15~0.2%점진적 인상 (과거 수준 복원)감액배당 과세미과세배당소득세 부과 또는 일반 배당과 동일 처리 검토 📌 종부세 공정시장가액비율, 상속·증여세 등 부동산 관련 세제는 이번 개편에서 제외됩니다.감세도 함께? 자본시장 '절충 카드'세제 개편의 핵심 중 하나는 양도세·거래세 인상 ↔.. 2025. 7. 23. 이전 1 2 3 4 5 6 ··· 4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