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67

"최저임금 인상, 정말 모두를 위한 해법일까?" – 영세사업자와 근로자 모두 ‘동결’ 원해 최저임금이 오히려 고용을 줄이는 ‘역설’을 낳고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산하 최저임금위원회 실태조사 결과, 영세사업자의 67.2%가 내년도 최저임금을 ‘동결’ 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근로자들조차 40% 가까이 동결 또는 3% 미만 인상 의견을 내면서, 현장의 체감 경기는 생각보다 심각합니다.🔎 영세사업자 70% “동결해야 생존 가능”2024년 최저임금은 1만30원, 전년 대비 1.7%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1988년 제도 도입 이후 두 번째로 낮은 인상률이지만, 영세자영업자들에겐 여전히 큰 부담입니다.숙박·음식업 매출 대비 인건비 비율:▶ 2023년 24.0% → 2024년 26.2%▶ 2.2% p 상승, 업종 중 가장 가파른 증가율이는 소비 위축, 원자재 가격 상승, 인건비 부담이 겹친 탓입니다. 업.. 2025. 4. 21.
"담배 판매량 8천만 갑 줄었는데 세금은 왜 그대로일까? 2024년 한 해 동안 국내 담배 판매량이 전년보다 8천만 갑 감소했음에도, 정부가 걷은 담배 관련 세금은 11조 7천억 원으로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판매가 줄었는데 세금은 그대로인 이유, 무엇일까요?📦 담배는 '판매'가 아닌 '반출' 기준으로 세금 부과담배 세금은 소비자가 구매할 때가 아닌, 제조공장에서 반출될 때 부과됩니다.2024년 담배 반출량은 35억 9천만 갑으로, 2023년(35억8천만 갑) 보다 오히려 1천만 갑 증가했죠.즉, 실제 매출과 무관하게 공장에서 나간 양만큼 세금이 매겨지는 구조입니다. 🔄 전자담배 비중 증가로 세수 변화문제는 담배 종류입니다.궐련(일반 담배) 반출량: 29억6천만 → 29억1천만 갑 감소궐련형 전자담배 반출량: 6억2천만 → 6억8천만 갑 증가전자담배 .. 2025. 4. 20.
국제 금값 최고가 경신, 안전자산 금의 상승세는 언제까지? 최근 국제 금값이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긴장이 심화되며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투자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것이 주요 원인입니다.금값, 다시 3300달러 돌파…12% 상승 배경은?2025년 4월 17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 금 선물 가격은 트로이온스당 3341.3달러를 기록, 지난 7일 잠시 깨졌던 3000달러선을 회복하며 역대 최고가를 또다시 갈아치웠습니다. 이는 단기간 12.3%나 급등한 수치입니다.🔸 원인 ① 미국의 대중 무역제재 강화미국은 중국산 일부 품목에 대해 관세율을 기존 125%에서 245%로 인상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원인 ② 미 채권·달러 불안 확대이런 조치로 미국 채권과 달러에 대한 신뢰도가 흔들리면서, 금이 대체 안전자산으로.. 2025. 4. 19.
핀테크 주도권, MZ에서 시니어로…‘큰손’ 된 50대 이상 “요즘 부모님도 카카오페이로 보험 들고, 토스로 대출 비교하세요.”한때 MZ세대 전유물로 여겨졌던 핀테크 서비스의 중심축이 이제는 시니어(50대 이상)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관심을 보이는 수준이 아니라, 가입자 30% 이상을 차지하며 ‘큰손’으로 부상한 겁니다.시니어 핀테크 가입률, 30% 시대 진입금융당국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페이, 핀다, 토스 등 주요 핀테크 기업에서 시니어 가입자 비율이 일제히 30%를 돌파했습니다.핀테크 플랫폼2020년 시니어 비중2023~2024년 시니어 비중카카오페이17.7%31.8%핀다23.7%30.4%토스29.0%30.0%가입자 비율뿐 아니라, 실제 대출 금액 기준으로는 시니어가 전체의 32.4%를 차지해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왜 시니어가 핀테크.. 2025. 4.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