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육아휴직자 대출 원금상환 유예 확대…저출산 대책, 금융지원까지

by 머니메신저 2025. 4. 30.
반응형

정부가 육아휴직자에 대한 금융부담 완화를 위해 민간 금융기관까지 대출 원금상환 유예 제도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는 저출산 위기 대응의 일환으로, 출산과 육아에 대한 실질적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움직임입니다.


📌 핵심 요약

육아휴직자 대출 유예 확대 보금자리·디딤돌대출 외 민간 금융기관 적용 검토
공공임대주택 분양전환 혜택 최소 거주기간 6년 → 3년 단축
다자녀 가구 혜택 강화 자동차 검사 수수료 감면율 15% → 30% 확대
아이돌보미 제도 개선 정신건강 전수조사 및 교육완화 대상 확대

육아휴직자, 대출 상환 유예 길 열린다

현재 육아휴직자는 정책자금 대출에서는 원금상환 유예를 받을 수 있지만, 민간 금융기관에서는 이 같은 혜택이 없습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이 불균형을 해소하고자 민간 금융기관에서도 육아휴직을 유예 사유로 인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분양전환형 임대주택, 출산가구 우대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든든전세' 등 인기 분양전환형 임대주택의 최소 임대거주기간이 6년에서 3년으로 단축됩니다. 서울시 ‘미리내집’처럼 출산 가구에 우선 매수권을 부여하는 방식도 확대돼, 출산가구의 주거 안정성이 높아질 전망입니다.


다자녀 가구 혜택…관공서에서 놀이공원까지

2자녀 이상 가구는 롯데월드 연간이용권 할인율이 20%였던 것에서 3자녀 이상은 25%로 상향되고, 자동차 검사 수수료 감면도 기존 15%에서 30%까지 확대됩니다. 또한 영유아 동반 우선창구 운영이 은행권까지 확대돼 생활 편의성이 증가합니다.


아이돌보미 제도도 개편된다

현장에서 꾸준히 제기된 의견을 반영해, 아이돌보미 전수 정신건강 조사교육시간 단축 대상 확대가 이뤄집니다. 특히 민간기관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는 육아도우미도 교육 단축 대상에 포함되며, 보다 많은 인력 유입이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저출산 대응, 정책은 현장으로 향한다

정부는 단순한 출산장려금을 넘어, 주거·금융·보육·편의성 전반에 걸친 지원을 추진하며, 사회 전반의 인식을 바꾸고 있습니다. 앞으로 실효성 높은 정책이 현장의 목소리와 함께 발전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