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2분기 실적 전망…조선업 강세, 2차전지 업종은 조정 국면

by 머니메신저 2025. 7. 7.
반응형

2025년 2분기 국내 주요 상장사들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업종별 실적 전망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일부 기업들은 업황 회복에 따른 실적 개선이 예상되는 반면, 특정 업종은 전반적인 수요 둔화와 원가 부담으로 인해 실적 조정이 나타날 것으로 보입니다.


조선업 중심으로 실적 개선 흐름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바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210개 기업의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약 59조3,28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9% 증가한 수치입니다. 다만 최근 3개월간 컨센서스는 소폭 하향 조정됐습니다.

 

조선업은 선박 발주 증가와 원가 안정화에 힘입어 실적 개선이 전망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기업들의 영업이익 추정치는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선박 건조 현장 또는 조선소 이미지

 

  기업명                    최근 3개월간 이익 추정치 변화율
한화오션 +65.5%
HD현대중공업 +50.4%
HD현대미포조선 +48.8%
HD한국조선해양 +47.6%
 

이는 미국 및 글로벌 해운 수요 증가, 해군 중심의 조선 발주 확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됩니다.


📈 선별적 실적 반등…유통, 핀테크, 일부 제조 업종

  • 이마트는 유통 구조 개선 노력과 비용 효율화 전략 등을 통해 흑자 전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증권사들은 영업이익 327억원 수준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 카카오페이의 경우 금융 플랫폼 부문 수익성 개선에 따라 흑자전환이 전망되고 있습니다.
  • 한화솔루션은 태양광 사업 부문에서 수익 개선세가 관측되며, 1,158억원 수준의 영업이익이 추정됩니다.

이 외에도 일부 소비재 및 방위산업 관련 기업에서도 실적 개선이 나타날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다만 이는 시장 및 업황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2차전지·화학 업종은 실적 부진 예상

2차전지 업종의 경우, 전기차 수요 정체 등으로 인해 수익성 압박이 지속되는 모습입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기업들이 2분기 적자를 기록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기업명                                         손실 추정치
삼성SDI -1,276억원
SK아이이테크놀로지 -447억원
엘앤에프 -527억원
 

화학 업종은 유가 하락, 수출 둔화, 환율 변동 등 외부 변수의 영향으로 실적 전망이 보수적으로 조정되고 있습니다. 일부 기업은 재고평가손실 반영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 향후 투자 전략 관련 유의사항

증권가에서는 실적 시즌을 맞아 기업별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언급하며, 예상 실적과 주가 사이의 괴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

 

다만 본 콘텐츠는 특정 종목에 대한 투자 권유가 아니며,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보다 신중한 접근과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