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덕수 권한대행 "SKT 유심 해킹 사고, 조치 적정성 철저 점검" 긴급 지시

by 머니메신저 2025. 4. 27.
반응형

SK텔레콤 유심(USIM) 해킹 사고로 국민 불안이 확산되는 가운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정부 차원의 철저한 대응을 긴급 지시했습니다.

27일 한 권한대행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국민 불편과 불안을 조속히 해소하고, SK텔레콤이 내린 조치의 적정성을 면밀히 점검하라"고 주문했습니다.


SKT 유심 해킹 사태, 무엇이 문제였나

지난 18일 밤 SK텔레콤은 가입자 휴대전화의 유심 해킹 피해를 인지했습니다.
하지만 21일이 되어서야 외부에 사고를 알렸고,
정확한 해킹 경로피해 규모는 아직 특정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초기 대응 과정에서 SK텔레콤은 고객들에게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을 권장했지만,
안내가 충분하지 않고 적극적인 대책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커졌습니다.
 
이에 25일, SK텔레콤은 전체 가입자 2,300만 명을 대상으로
유심 무상 교체를 시행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일자주요 내용
4월 18일 SK텔레콤 유심 해킹 인지
4월 21일 외부 공지 발표
4월 25일 전체 가입자 대상 유심 무상 교체 발표

정부, 유심 교체·보호 서비스 적정성 점검 착수

한덕수 권한대행은 이번 사고 대응과 관련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 지시 사항을 내렸습니다.

  • SK텔레콤이 내린 유심 보호 서비스 권고유심 교체 방침의 적정성 철저 점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심, 방송통신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관계부처 긴밀 협력
  • 사고 원인 분석 철저 진행 및 결과 투명 공개
  • 사이버 공격 대응 정보 보호 체계 점검 및 개선
정부 긴급 조치주요 내용
점검 대상 SK텔레콤 유심 보호/교체 조치
관계 기관 과기정통부, 방통위, 개인정보위, 국가정보원
핵심 방향 국민 불편 해소, 정보 보호 체계 강화

사이버 보안 체계 전면 강화 예고

한덕수 권한대행은 "국민 불안을 최소화하고, 사이버 공격에 대비해 정보 보호 체계를 철저히 점검하고 개선하라"고 강조했습니다.

최근 심스와핑(SIM swapping) 등 유심 관련 해킹 사고가 글로벌 이슈가 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통신보안 강화 필요성이 한층 부각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유사 사고를 막기 위해
보다 강력한 통신·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검토할 방침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