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즘 부모님도 카카오페이로 보험 들고, 토스로 대출 비교하세요.”
한때 MZ세대 전유물로 여겨졌던 핀테크 서비스의 중심축이 이제는 시니어(50대 이상)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관심을 보이는 수준이 아니라, 가입자 30% 이상을 차지하며 ‘큰손’으로 부상한 겁니다.
시니어 핀테크 가입률, 30% 시대 진입
금융당국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페이, 핀다, 토스 등 주요 핀테크 기업에서 시니어 가입자 비율이 일제히 30%를 돌파했습니다.
핀테크 플랫폼2020년 시니어 비중2023~2024년 시니어 비중
카카오페이 | 17.7% | 31.8% |
핀다 | 23.7% | 30.4% |
토스 | 29.0% | 30.0% |
가입자 비율뿐 아니라, 실제 대출 금액 기준으로는 시니어가 전체의 32.4%를 차지해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왜 시니어가 핀테크에 몰리나?
핵심 배경은 바로 ‘대환대출 서비스’의 활성화입니다.
2023년부터 비대면 대출 갈아타기(대환대출) 인프라가 본격 구축되면서, 금리에 민감한 시니어층의 수요가 폭증했기 때문입니다.
청년층보다 자산 규모가 크고 대출 규모도 큰 50대 이상 고객들이 더 적극적으로 핀테크를 활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시니어 친화적 UX로 전략 전환
핀테크 기업들도 발 빠르게 대응 중입니다.
- 카카오페이: 2023년 ‘큰 글씨 홈’ UI 도입 → 체류시간 40% 증가
- 핀다: ‘페이크 파인더’ 도입으로 금융사기에 취약한 시니어 보호
- 토스: 안정성 강조한 대출 관리 기능 강화
기존에는 젊은 세대를 위한 세련된 UI/UX가 주류였다면, 이제는 ‘가독성’, ‘안정성’, ‘간편함’이 핵심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결론: 이제는 ‘시니어 테크 시대’
핀테크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습니다.
단순히 ‘편리함’을 넘어 실질적인 자산 운용 플랫폼으로 자리잡으며, 시니어 고객이 수익성과 성장성을 이끄는 핵심 축이 되었습니다.
앞으로 핀테크 앱에서 더 큰 글씨, 더 쉬운 버튼, 더 안전한 보안 서비스를 보게 된다면, 그것은 시니어를 위한 변화일지 모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