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위안화 절하로 맞불…격화되는 미·중 ‘관세+환율 전쟁’

by 머니메신저 2025. 4. 9.
반응형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이 이제 ‘환율 전쟁’으로까지 번지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104%의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은 위안화 절하라는 반격 카드를 꺼냈습니다.

 

이는 글로벌 금융시장과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도 적잖은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위안화 절하, 심리적 마지노선 ‘7.2위안’ 돌파

2025년 4월 9일, 중국 인민은행은 달러당 위안화 환율을 7.2066위안으로 고시하며 1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중국 정부가 그간 지켜온 ‘7.2 위안’ 방어선을 허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환율을 높여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입니다.

 

날짜달러/위안 환율특징
2023년 9월 약 7.20 최근 최고치 기록
2025년 4월 9일 7.2066 19개월 만에 최고치
2025년 4월 8일 (역외) 7.4290 역외 위안화 시장 사상 최고치

트럼프 “중국, 환율 조작”…중국 “끝까지 간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국이 환율을 조작해 관세 효과를 상쇄하려 한다”며 강하게 비난했습니다.

 

그는 “중국 제품에 대한 104%의 관세는 협상에 나올 때까지 계속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중국은 “미국이 고집을 부린다면 끝까지 싸우겠다”며 장기전에 돌입했습니다.

 

‘환율 무기’의 파급력은?

환율 조정은 수출 통제보다 훨씬 은밀하고 파급력이 강한 수단입니다. 위안화 가치가 하락하면 중국산 제품의 수출 단가가 낮아지고, 이는 관세 부담을 상쇄하게 됩니다.

 

실제로 2018년에도 트럼프 1기 행정부가 관세를 부과했을 때 중국은 위안화를 10% 넘게 절하한 바 있습니다.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이번 절하가 시작에 불과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 웰스파고: 최대 15% 절하 예상
  • 제프리스: 최대 30%까지 가능

 

한국 경제도 출렁…환율 영향 확산

이날 원·달러 환율도 1484.1원으로 치솟으며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수출·수입·투자 등 전방위에 영향을 주며, 한국도 미·중 환율 전쟁의 파장에 직면하게 될 전망입니다.

반응형